티스토리 뷰
2025년 국가건강검진, 올해는 다릅니다. 대상 기준도 바뀌었고, 놓치면 손해인 항목도 생겼죠. 누구나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확인하지 않으면 소용없는 건강검진, 지금 확인하지 않으시면 늦습니다.
궁금하신가요? 40세 이상, 그리고 만 66세라면 반드시 읽어보셔야 해요.
아래 버튼으로 대상자 조회부터 바로 시작하세요!
목차
2025 국가건강검진 대상자, 누가 해당될까?
2025년에는 홀수년도 출생자가 기본 대상입니다. 예: 1975, 1981, 1993년생 등.
직장가입자는 매년 검진 대상이지만, 지역가입자와 피부양자는 2년에 한 번만 해당됩니다.
의료급여 수급자는 만 19세~64세 중 홀수년도 출생자면 대상이며, 만 40세 또는 66세라면 ‘생애전환기 검진’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대상자 조회 방법 3가지
1.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 건강검진 대상 조회 메뉴
2. M건강보험 앱 → 민원신청/조회 → 건강검진 대상 조회
3. 고객센터 1577-1000으로 전화 문의 가능
문자나 우편으로 안내되는 경우도 있지만, 누락될 수 있으므로 꼭 본인이 직접 조회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검진 항목 총정리
기본 검진 항목에는 신체계측, 시력, 청력, 혈압, 혈액검사, 요검사, 흉부 X-ray, 구강검진 등이 포함됩니다.
특히 혈액검사를 통해 간기능, 고지혈증, 당뇨, 빈혈 등을 확인할 수 있어 건강 체크에 큰 도움이 됩니다.
40세 이상이면 5대 암검진이 추가됩니다: 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연령별 추가 검진 항목
✔ 40세: 생애전환기 검진 + 암검진 시작
✔ 66세: 인지기능장애 검사 추가
✔ 60세 이상 여성: 골다공증 검사 가능
각 항목은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사전 확인 필수입니다.
사전에 본인 항목 확인 없이 방문하면 일부 검사가 누락될 수 있어요.
예약과 결과 확인 방법
검진 예약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병원에 직접 전화/방문으로 가능
거주지와 관계없이 전국 지정 병원 선택 가능
검진 결과는 보통 7~14일 이내 우편 또는 앱으로 수령
M건강보험 앱, 병원 자체 앱으로도 빠른 결과 확인 가능
검진 전 필수 준비사항
✔ 전날 저녁 9시 이후 금식 (물 포함)
✔ 혈액검사 항목 포함 시 반드시 공복 유지
✔ 개인 복용 중인 약물은 의료진과 사전 상의 필요
✔ 검사 항목 중 일부는 동의서가 필요한 경우도 있으므로 확인 필요
검진 항목 요약표
항목 | 검사 내용 | 해당 연령 |
---|---|---|
기본검사 | 신체계측, 혈압, 시력, 청력 등 | 전체 |
혈액검사 | 간기능, 고지혈증, 당뇨 등 | 전체 |
암검진 | 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 40세 이상 |
골다공증 검사 | 골밀도 검사 | 60세 이상 여성 |
인지기능 검사 | 치매, 기억력 등 | 66세 이상 |
Q&A
Q1. 국가건강검진은 어디서 받나요?
A1.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정 병원에서 가능합니다. 거주지와 무관하게 전국 어디서나 받을 수 있습니다.
Q2. 검진 비용은 무료인가요?
A2. 기본 국가검진 항목은 무료이며, 일부 정밀검사는 본인 부담이 있을 수 있습니다.
Q3. 대상자 조회가 안 되는 경우는?
A3. 시스템 오류, 안내 누락 등이 원인일 수 있으며, 고객센터(1577-1000)로 문의하면 확인 가능합니다.
Q4. 모바일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나요?
A4. 네, M건강보험 앱 또는 병원 자체 앱을 통해 결과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Q5. 암검진은 매년 받는 건가요?
A5. 암 종류에 따라 1~2년 주기로 권장되며, 대상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릅니다.
2025년 검진, 지금 준비하세요!
건강검진은 단순히 무료 서비스가 아닙니다. 조기 진단과 건강 관리의 시작점입니다.
대상자 조회부터 예약, 결과 확인까지 모두 간편하게 가능한 지금, 미루지 마시고 바로 챙기세요.
특히 부모님이나 가족이 해당된다면 함께 도와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건강은 타이밍이 생명입니다. 지금 바로 확인하고 실천해보세요!